Home ▶ Notice ▶ News Release

울산시 게놈(genome)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에 박차
source: 울산매일신문 2020-01-13
울산시가 ‘수소산업 규제 자유특구’에 이어 게놈(genome)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통해 빠르게 발전하는 4차 산업혁명 유망 신기술 육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울산에서 게놈을 해독하고 분석해 서비스를 할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울산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것이다.
울산시는 정부의 3차 규제자유특구 지정 계획에 따라 게놈산업특구지정을 위한 공모 사전협의 대상으로 신청한 상태라고 13일 밝혔다.

특구 지정은 6월 말 특구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에서 심의 의결되는데 연초부터 정부부처와 협의를 통해 사업계획서 마련을 진행중이다.
우선 협의 대상에 선정되면 시는 오는 4월께는 최종계획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울산시가 검토중인 게놈산업 규제자유특구는 2020년 7월부터 2년간 UNIST(울산과학기술원) 일대에 공용NGS(Next Generation Sequencing(차세대 염기서열분석)) 임상검사실 구축, 바이오 데이터 저장·관리 버스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하드웨어 위주로 진행되는 게놈산업 특구사업이 완료되면 울산이 1만 명 게놈 프로젝트 등을 통해 구축해 놓은 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울산은 지역행복생활권 선도사업을 통해 1,000명 한국인 게놈 등으로 인체 유래물은행 뱅킹을 완료한 상태이며 올해까지 진행되는 울산만명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서는 한국인 4,000명 가량의 게놈과 다중오믹스, 임상정보 등을 수집완료한 상태다.

울산시와 UNIST 등은 한국식품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미병연구단, 제주국제동물연구센터, 연세대 의대 송당암연구센터 등과 게놈 빅데이터 처리와 공동 연구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고 클리노믹스, 리센스메디컬 등 게놈 기술 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업화하려는 기업도 성장하고 있다. 울산시는 2029년까지 또 최대 100만 명 규모로 추진 중인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사업에 선도적으로 참여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울산시는 규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게놈산업과 관련된 데이터 확보, 저장, 분석, 활용분야 규제 해소 및 기준 마련 등을 통해 게놈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규제자유특구는 기업이 신기술 적용 관련 규제 애로사항이나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정부가 이를 해결해주는 제도로 첨단 기술력과 자본, 인력 등이 자연스럽게 유입되는 등 전·후방 경제 효과가 매우 크다.

울산이 규제자유특구에 계속 도전하는 것은 전국에 흩어진 신기술 보유 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이다. 규제자유특구가 기업이 신기술 적용 관련 규제 애로사항이나 개선 아이디어를 제안하면 지자체가 신청하는 구조로 돼 있어 공간만 지정하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기술력과 자본, 인력 등이 자연스럽게 지역으로 흘러들어오는 효과가 있다.

실제 울산이 3D 프린팅 산업 메카로 뜨면서 관련 기업들이 울산으로 옮겨오고 있는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울산시 관계자는 시장은 “울산이 규제자유특구로 지정이 되면 울산을 세계적인 게놈 기반 바이오헬스 중심도시로 우뚝 서 울산경제에도 새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울산매일,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